행정안전부,지방시대위원회 "대구시와 경북도" 통합 논의 재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22회 작성일 24-09-06본문
대구시와 경북도는 6일 행정안전부 및 지방시대위원회와 함께 통합 논의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2시 개최된 간담회는 대구·경북 통합을 위한 기본 방향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으며, 통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실무 회의가 매주 열리기로 협의됐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난 6월 4일, 행정안전부 및 지방시대위원회와 함께 '대구·경북 통합의 기본 방향'에 합의한 이후 약 3개월간 통합 방안을 논의해왔다.
합의된 기본 방향에는 대구시와 경북도의 통합 추진, 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 마련 등이 포함된다.
간담회는 대구시와 경북도가 주도적으로 통합 방안을 마련하되, 통합 자치단체의 종류와 광역-기초 간 관계 등 특정 사안에 대해서는 행정안전부와 지방시대위원회가 지원키로 했다.
특히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보, 황순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 김호진 경북도 기획조정실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논의가 진행됐다.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은 "대통령을 비롯해서 정부에서도 논의가 순조롭게 잘 진행돼 오는 과정에 예기치 않는 중단의 기간이 있어서 대단히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어 "다시 대구 경북이 큰 틀에서 통합 논의를 제기해 많은 걱정을 하고 계시는 시,도민들께 대구 경북의 미래를 위해서 통합 논의를 적극적으로 다시 갖게 된 것을 정말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경북도 김호진 기획조정실장은 "통합협의에 대해 위원장님 역할에 감사드리고 대구.경북의 일방적인 통합이 아닌 시,도민의 희망과 기대에 부합하며 함께 공감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황순조 대구기획조실장은 "통합이 참 어렵고 힘든 과정에 수많은 쟁점이 있었으나 한두 개의 쟁점만 잘 해결한다면 합의안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며 대구 경북이 더욱더 힘을 모아서 합의안 도출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와 경북도는 약 한 달간 매주 실무 협의를 통해 통합 방안을 구체화할 예정이며 통합 방안이 최종 합의되면, 통합 비용 지원 및 행정·재정적 특례 부여 등 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도 본격적으로 검토될 계획이다.
이날 2시 개최된 간담회는 대구·경북 통합을 위한 기본 방향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으며, 통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실무 회의가 매주 열리기로 협의됐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난 6월 4일, 행정안전부 및 지방시대위원회와 함께 '대구·경북 통합의 기본 방향'에 합의한 이후 약 3개월간 통합 방안을 논의해왔다.
합의된 기본 방향에는 대구시와 경북도의 통합 추진, 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 마련 등이 포함된다.
간담회는 대구시와 경북도가 주도적으로 통합 방안을 마련하되, 통합 자치단체의 종류와 광역-기초 간 관계 등 특정 사안에 대해서는 행정안전부와 지방시대위원회가 지원키로 했다.
특히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보, 황순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 김호진 경북도 기획조정실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논의가 진행됐다.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은 "대통령을 비롯해서 정부에서도 논의가 순조롭게 잘 진행돼 오는 과정에 예기치 않는 중단의 기간이 있어서 대단히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어 "다시 대구 경북이 큰 틀에서 통합 논의를 제기해 많은 걱정을 하고 계시는 시,도민들께 대구 경북의 미래를 위해서 통합 논의를 적극적으로 다시 갖게 된 것을 정말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경북도 김호진 기획조정실장은 "통합협의에 대해 위원장님 역할에 감사드리고 대구.경북의 일방적인 통합이 아닌 시,도민의 희망과 기대에 부합하며 함께 공감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황순조 대구기획조실장은 "통합이 참 어렵고 힘든 과정에 수많은 쟁점이 있었으나 한두 개의 쟁점만 잘 해결한다면 합의안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며 대구 경북이 더욱더 힘을 모아서 합의안 도출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와 경북도는 약 한 달간 매주 실무 협의를 통해 통합 방안을 구체화할 예정이며 통합 방안이 최종 합의되면, 통합 비용 지원 및 행정·재정적 특례 부여 등 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도 본격적으로 검토될 계획이다.
조영준 기자(jebo777@hanmail.ne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